• home
  • 척추관절통증센터
  • 척추관절질환정보
  • 네이버블로그
  • 다음블로그
  • 다음카페

척추관절통증센터

대표전화

02-538-7111

진료시간(척추센터)

  • 평   일 AM 09:00 ~ PM 06:00
  • 점   심 PM 01:00 ~ PM 02:00
  • 토요일 AM 09:30 ~ PM 01:00
  • 일요일, 공휴일 휴일

척추관절질환정보 풍부한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척추 비수술치료의 최신기법, 최고의 시술로 보답하는 광혜병원입니다. 프린트

목통증

목디스크

우리가 흔히 목 디스크라고 알고 있는 것은 정확한 의학 명칭으로는 ‘경추 수핵 탈출증’이라고 합니다. 즉, 경추와 경추 사이에 있는 추간판(디스크) 사이로 내부의 수핵이 빠져 나와서 신경근 또는 척수를 누르는 질환입니다. 목디스크는 뒷목이 뻐근하면서 어깨 뒤쪽이나 날개뼈 뒤쪽이 저리고 아픕니다. 또한 어깨와 팔부터 통증이 심하고 저리면서 심해지면 팔을 움직이지도 못할 정도의 통증을 호소하게 됩니다. 목디스크는 예전에는 40~50대의 중장년층이 많이 걸렸던 질병이지만, 최근에 들어서는 젊은 사람들에게서도 목통증과 목디스크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학생들과 직장인들은 장시간 책상 앞에 앉아서 책이나 모니터를 보게되는 경우가 많고 바른 자세라고 해도 장시간 한 자세를 유지하다보면 목통증과 목디스크에 걸릴 가능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목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목통증이 있을 때 관리를 잘 해야 하는데, 목통증도 초기부터 관리를 해줘야 목디스크로 넘어가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목디스크와 목통증을 예방하는 생활습관
  • 1) 어깨가 뻐근하고 목 뒷쪽의 긴장감이 느껴지기 시작한다면 큰 힘이 아니더라도 약 10초 정도 꼭꼭 눌러주는 것이 좋다. 또한 요가나 수영 등도 몸을 유연하게 하는 좋은 운동이다.
  • 2) 베게는 너무 높지 않게 한다.
  • 3) 엉덩이를 의자 깊숙이 들어 앉고 책상 앞으로 끌어당겨 앉고 상체가 펴지도록 등받이에 기대야 한다. 턱은 뒤로 당기고 머리와 척추는 똑바로 한다. 또 양 어깨는 수평을 이루고 두발이 모두 붙게 하며 체중의 40%를 싣는다.
  • 4) 특히 컴퓨터 작업 시 모니터를 눈 높이보다 10~15도 가량 아래로 조절해주어야 목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 5)평소에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 한 시간에 한번 정도 스트레칭을 하여 목 뒷부분 및 어깨 근육을 풀어주어 만성 통증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 6) 키보드는 책상의 중앙에 두고 손목만이 아니라 팔 전체를 올려놓고 작업한다.

컴퓨터 증후군

컴퓨터를 장시간 이용하는 경우 거북목증후군이 생길 수 있습니다. 거북목증후군은 머리가 거북이처럼 구부정하게 앞으로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컴퓨터 화면을 목만 앞으로 내민 자세로 오랫동안 내려다 보는 경우, 목뼈를 지탱하는 목 근육이 경직되고 인대가 늘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 C자형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목뼈가 일자형으로 변하게 되어 일자목이 되는데, 일자목은 충격을 흡수해야 하는 목의 능력이 떨어지게 되어 목뼈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하는 디스크가 입박을 받게 되어 목다스크가 발생하며 목의 퇴행화가 진행니다. 또한 목이랑 어깨가 쉽게 긴장을 하고 스트레스를 발생시켜 만성 두통이나 저림 등 통증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목이 뻣뻣해지는 등의 증상이 계속되어 팔까지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컴퓨터증후군은 평소에 컴퓨터 모니터를 눈의 높이로 맞춰 주고 목을 과하게 숙여서 책을 보는 습관을 고쳐야 하며 컴퓨터 사용 중에는 잠깐의 휴식을 통하여 목을 스트레칭 주는 것이 좋으며 평상시 수면 베개는 너무 높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일단 컴퓨터증후군이 의심되면 조기 관리가 필요하며 전문의를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 상태가 악화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근근막 통증 증후군

근근막 통증 증후군이란 근육과 근막의 통증을 유발시키는 화학물질이 모여 있어 혈관과 근육이 수축 경련되어 근육이 뭉쳐 있는 것 같고 지속적인 통증이 있으며 목이 뻣뻣해지고 두통까지 생기게 되는 증상으로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평소 스트레스를 잘 받는 성격이라든지 척추 측만증이나 호르몬의 불균형, 비타민 무기질의 결핍, 주요 외상이나 나쁜자세로 인한 신체적 스트레스가 목이나 어깨, 허리 등과 같은 부위의 근육에 통증을 일으키게 되고 이 통증이 또한 스트레스가 되어 악순환이 되는 것입니다. 근근막 통증 증후군의 증상은 30~60대의 연령에서 많이 발생하며 여자에게 더 많이 발생하는데, 목, 어깨, 허리 등의 근육에 압통점을 갖고 있으며 지속적인 통증으로 뻐근함에서부터 아주 심한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또한 근육이 경련 되거나 뻣뻣해지며 동작이 제한되기도 합니다. 근근막 통증 증후군은 협심증이나 식도염, 위나 담도계, 횡경막질환 등의 방사통과의 자세한 감별 진단이 필요합니다. 또한 근근막 통증 증후군은 근육과 혈관이 수축, 경련된 상태이므로 이 부위의 혈관을 확장시키고 근육 경련을 풀어 주어 혈액, 산소, 영양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통증 유발 물질을 제거하는 통증 치료를 하여 지속적인 통증을 차단시켜야 하고 힘들고 나쁜 자세를 취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근육을 이완시키는 운동 요법을 병행함이 빠른 통증 치료법입니다.